올해 6월 서울 여의도 상공에 ‘달’이 떠오릅니다. 서울시는 보름달 모양의 계류식 가스 기구 ‘서울의 달’을 운영할 계획인데요, 최대 150m 상공까지 수직 비행하여 한강과 서울의 야경을 제대로 즐길 수 있게 됩니다. 기구는 유럽연합항공안전청(EASA)의 품질 및 안전성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안전을 위해 시범 비행 후 운영됩니다. 150m 상공에서 한강 야경을 즐기는 특별한 경험, 6월에 만나세요.
올해 6월, 150m 상공에서 서울야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계류식 가스(헬륨)기구 ‘서울의 달’이 운영됩니다.
‘서울의 달’은 언뜻 보면 열기구처럼 생겼지만 헬륨가스로 채워진 기구를 케이블로 지면과 연결하는 구조로 공기보다 가벼운 헬륨가스 부력과 전기장치를 통해 수직비행을 반복하는 방식입니다.
헬륨가스는 불활성·비인화성 기체로 인체에 해가 없고, 폭발성이 없어 열기구보다 안전하고 소음과 공해가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헝가리 부다페스트 세체니 온천, 프랑스 파리 디즈니랜드, 미국 올랜도 디즈니월드 등에서도 계류식 가스기구를 운영 중입니다.
비행시간은 1회 약 15분, 탑승정원은 30명이며 기상상황에 따라 100~150m 상공까지 뜹니다.
‘서울의 달’은 화요일부터 일요일 12시~ 22시까지 운영되고 탑승비는 대인 기준 2만 5천원(예정)입니다. 장애인·국가유공자 등은 할인이 적용됩니다. 매주 월요일은 정기점검이 진행됩니다.
단체가 20인이상이라고 하는 걸 보면 정원이 20명이 넘는다는 소린가 모르겠네요. 아니면 단체 신청하고, 나누어서 타는 건가요? 아직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가 없네요.
헬륨기구 기종은 프랑스 제조업체 ‘에어로필(Aerophile)’사의 ‘에어로30엔지(Aero30ng)’로 유럽연합항공안전청(EASA)의 품질 및 안전성 인증을 받았습니다. 인장력 45t의 연결케이블과 비상정지 모터, 비상동력 등의 안전시설이 구축되어 있습니다.
에어로필사는 1994년부터 40개국에 120여 개의 헬륨기구를 공급했고, 2023년 기준 약 1,500만 명 이상이 에어로필사의 기구에 탑승했습니다.
‘서울의 달’은 올해 1월부터 제작 중이며 6월까지 여의도공원 잔디마당에 설치를 마치고 일주일 이상 시범 비행을 통해 안전성을 검증합니다. ‘서울의 달’ 설치는 동일 기종 10회 이상 설치경험이 있는 ‘플라잉수원’이 맡습니다.
장마‧태풍 등 기후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 후 6월 말부터 본격적인 비행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서울의 달’은 강풍·폭우 등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비행기구이므로 홈페이지·SNS·AR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전 비행여부 정보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여의도공원 기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약 일주일간의 비행 일정을 홈페이지, SNS 등에 사전 공지하여 이용편의를 제공합니다.
한강과 서울의 파노라마 야경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비행기구 ‘서울의 달’은 지난해 3월 발표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매력거점 조성사업이자 ‘서울관광 미래비전 3377 관광시대’ 실현을 위한 사업의 하나로, 시는 국내외 관광객이 즐겨찾는 핵심적인 서울 랜드마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에 또 하나의 랜드마크가 생기겠네요.
서울을 관광하다보면 서울타워(남산타워)가 있고, 63빌딩, 롯데타워 등이 있지요. 여기에 여의도에 서울의 달이 6월에 오픈한답니다.
과거 서울의 달이란 드라마가 생각나네요. 가수 김건모씨가 불렀던 타이틀 곡도 생각나고요.
어쨌거나 해외의 선진사례를 통해 안전성은 검증이 됐다고 하니 안전할거라 믿어야 되는데, 이번에 스타필드 번지점프 사고도 있었고, 제주도 에드벌륜에서도 가끔 사고가 나는 것을 생각해 보면 더욱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운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을 가져오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장년 채용설명회 「(김포)공항일자리 채용의 날」 참여자 모집 (102) | 2024.03.09 |
---|---|
중장년 500명에 직업교육비 60만원 지원, 신청대상은? (112) | 2024.03.09 |
입지·공간·임대료 '삼박자' 갖춘 '1인가구 공유주택' 나온다 (206) | 2024.02.27 |
156만 1인가구 일상에 착! 붙는 맞춤형 안심정책 (145) | 2024.02.26 |
도시락 & 밀키트 & 먹거리 할인지원 대폭확대 - 3월부터 달라지는 점!!! (140)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