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수급가구, 차상위계층 및 자활근로사업단 참여자(단, 청년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의 자립·자활 지원을 위해 정부가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복지 정책인데요.
쉽게 설명하면 자격이 된다면, 제1금융권이나 제2금융권에서 적금을 붓는다고 생각해 보세요. 그 적금 넣을 돈이면, 거의 2배에 가까운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적금입니다.
자 자세히 읽어보시고 생각해보세요. 물론 신청자격을 먼저 꼼꼼히 살펴보세요!!!
□ (희망저축계좌Ⅰ) 일하는 생계·의료수급가구
□ (희망저축계좌Ⅱ) 일하는 주거·교육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 (청년내일저축계좌)
- 가입연령 : 신청 당시 만 19~34세 (단, 수급자·차상위자는 15~39세까지 허용)
- 근로‧사업소득 :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월220만원 이하(단, 수급자‧차상위자는 10만원이상)
- 가구소득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재산 : 대도시 3.5억원, 중소도시 2억원, 농어촌 1.7억원 이하
□ (희망저축계좌Ⅰ)
-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시(매월 전월 23일~현월 22일 입금마감일 이전) 정부지원금 30만원 매칭 지원 (탈수급시 지원금 전액 지급)
-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등) 지급
□ (희망저축계좌Ⅱ)
- 매월 10만원 이상 저축시(매월 전월 23일~현월 22일 입금마감일 이전) 정부지원금 10만원 매칭 지원 (정해진 교육 및 사례관리 모두 이수 및 지원금의 50%이상에 대한 사용용도 증빙완료시 전액 지급)
-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등) 지급
□ (청년내일저축계좌)
- 매월 본인 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본인저축액 10만원(매월 전월 23일~현월 22일 입금마감일 이전) 대비 정부지원금 10만원(중위소득50%초과~100%이하), 30만원(중위소득50%이하) 정액 매칭(3년간 통장유지,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시 적립금 전액 지급)
-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근로소득공제금, 탈수급장려금, 내일키움장려금, 내일키움수익금 등) 지급
□ 통장 유형별 모집기간이 상이하므로 자세한 사항은 주민센터 문의 또는 자산형성 포털(hope.welfareinfo.or.kr) 참조
자산형성포털
희망저축계좌 및 청년내일저축계좌 통장사업으로 정부가 자산형성을 지원합니다
hope.welfareinfo.or.kr
□ 온라인신청 : 복지로(http://www.bokjiro.go.kr)
□ 방문신청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복지정책인데요.
일반적인 제1금융권 적금보다는 훨씬 좋은 조건의 적금통장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적금 당사자가 낸 만큼 정부가 같은 금액으로 같이 지원을 해 주니, 일정기간을 유지하면 투자대비 훨씬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좋은 조건인 만큼 아무한테나 혜택을 주는 건 아니니까, 신청 자격을 꼼꼼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모쪼록 정부지원 사항들 많이 살펴보시고, 희망을 가져봅시다.
저도 경험을 해보니, 적금 만기금을 받을 때는 물론 행복하지만, 매달 적립되는 통장 잔고를 봐도 행복해져요. ^^
'행복을 가져오는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소개합니다. (4) | 2024.02.05 |
---|---|
에너지바우처 - 산업통산자원부 2024 (0) | 2024.02.01 |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 방법 (0) | 2024.01.29 |
긴급복지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볼께요. (1) | 2024.01.23 |
2024년 복지정책 이렇게 바뀐다. (1)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