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적 : 일상생활 영위가 어려운 취약노인에게 적절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 노인의 기능·건강 유지 및 악화 예방
□ 기존 6개* 노인돌봄사업을 ‘노인맞춤돌봄서비스’로 통합·개편(’20.1월 시행)
□ 6개 사업 상세
①노인돌봄기본서비스
②노인돌봄종합서비스
③단기가사서비스
④초기독거노인 자립지원 사업
⑤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사업
⑥지역사회 자원연계 사업
대한민국이 급하게 고령화사회로 가고 있다는 사실은 여러 매체를 통해서 들어 알고 계실겁니다. 이에 복지예산도 고령층 복지에 맞춰서 점점 변화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는데요.
예전부터 있었던 노인맞춤돌봄서비스에 대해서 관심이 없으셨다가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각 가정에 대상자가 생김에 따라 이제 관심을 가져야 할 가정도 점점 늘어나겠죠?
자, 그럼 상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할께요!!
□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또는 기초연금수급자 중 독거·조손가구 등 돌봄이 필요한 노인(대상자 선정도구*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선정)
□ 대상자 선정도구: 신체‧정신‧사회참여 영역의 취약요인을 조사하여 대상자 선정여부, 서비스 제공시간의 범위 등을 산정
□ (신청권자) 본인, 신청자의 친족* 및 이해관계인**
* 친족 : 배우자, 8촌 이내의 혈족, 4촌 이내의 인척
** 이해관계인 : 친족을 제외한 이웃 등 그 밖의 관계인
□ (신청서 제출) 서비스 대상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의 읍·면·동 주민센터
□ (제출서류) 신청서(주민센터 비치), 신분증 등
□ 안전지원, 사회참여, 생활교육, 일상생활분야의 다양한 서비스를 서비스 제공계획에 따라 직접 또는 연계 제공
- 방문형, 통원형(그룹형 프로그램) 등 제공형태 다양화
□ 각 대상자의 돌봄욕구·필요정도에 따라 제공시간, 서비스 내용 등 지원수준이 다름
□ (수행기관) 시·군·구에서 지역 내 노인인구, 접근성 등을 고려, 권역을 설정하여 수행기관 선정·위탁(646개소)
□ (수행인력) 전담사회복지사‧생활지원사
□ (이용자 부담금) 무료
지금까지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복지제도 중에 금전적인 제도가 있고, 소개드린 노인 맞춤 돌봄서비스와 같은 오프라인으로 직접 접촉을 통해 지원해 주는 제도가 있어요.
문득, 고 이선균 배우와 아이유씨가 주연배우로 나왔던 "아저씨"라는 드라마가 생각나네요. (번외로 이 드라마 적극 추천합니다.) 아이유씨의 할머니로 나왔던 손숙배우님이 열연하셨는데, 말하려는 취지는 아이유가 할머니를 요양병원에서 Care를 했었는데, 그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할 때, 이선균씨가 복지제도를 알려줘서 무상으로 할머니를 병원으로 모실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장면이 있습니다. 바로 이 부분이 제가 말하려는 부분입니다.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이런 제도들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야 정말 필요한 분들에게 추천해주고, 당연히 누려야 할 복지제도를 꼭 필요한 분들이 활용할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음.. 갑자기 "아저씨"를 다시 보고 싶어지네요. 그래서 오늘은 이만~~~ ㅋㅋㅋ
'행복을 가져오는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소개합니다. (4) | 2024.02.05 |
---|---|
에너지바우처 - 산업통산자원부 2024 (0) | 2024.02.01 |
희망/내일키움통장 자격 및 신청? (2) | 2024.01.27 |
긴급복지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볼께요. (1) | 2024.01.23 |
2024년 복지정책 이렇게 바뀐다. (1) | 2024.01.23 |